MyTube
인문공간세종
4,050 Subscribers
[한 달에 한 책 100분 토크] 우응순 선생님,『시경 강의4』‘시 삼백’을 읽는 기쁨(2)
인문공간세종
[한 달에 한 책 100분 토크] 우응순 선생님,『시경 강의4』‘시 삼백’을 읽는 기쁨(1)
인문공간세종
[퇴근 후 인류학 강의] 청킹맨션의 보스는 알고 있다(2) _타자의 '알 수 없는 참모습'을미
인문공간세종
[해양 인류학] 환동해 문명사(5) : 5장 아시아의 발칸 만주 : 철도, 시공간을 균일하게 재편하다
인문공간세종
[해양 인류학] 환동해 문명사(6) : 5장 초원의 노마드, 바다의 노마드 : 몽골을 향하는 중화제국주의
인문공간세종
[중세 여행기] 조선통신사들과 함께 현해탄을 건너다(2) 신숙주_해동제국기 海東諸國記 2부
인문공간세종
[중세 여행기] 조선통신사들과 함께 현해탄을 건너다(1) 신숙주_해동제국기 海東諸國記 1부
인문공간세종
[해양 인류학] 환동해 문명사(4) : 2장 시베리아 횡단열차와 동해 출구 : 복잡다단한 동쪽의 문, 연해주
인문공간세종
[해양 인류학] 환동해 문명사(3) : 1장 유라시아 대항해(2) : 인종의 용광로, 인종 공포의 이유는?
인문공간세종
[중국철학사 읽기 2] 중국고대의 사상: 인간의 선악은 어디서 오는가? 생명과 영생에 대한 희구
인문공간세종
[중국철학사 읽기 1] 중국고대의 사상: 자연의 근본(帝) 중심에서 남성 조상(祖) 중심으로
인문공간세종
[퇴근 후 인류학 강의] 청킹맨션의 보스는 알고 있다(1) _그의 자격을 묻지 않는 공동체가 가능한가?
인문공간세종
[해양 인류학] 환동해 문명사(2) : 유라시아 대항해 | 러시아가 동쪽으로 간 이유 #주강현 #환동해문명사
인문공간세종
[해양 인류학] 환동해 문명사(1) : 환동해 | '환'의 관계망, 관계의 역사 #주강현 #환
인문공간세종
[퇴근 후 인류학 강의] 케이브 오브 본즈(2) _성과 속의 경계를 표시하는 인류? 날레디 굴로 들어가는 문
인문공간세종
[종교인류학] 3학기 7주차. 이란의 새로운 종합과 기독교의 탄생 (3)
인문공간세종
[종교인류학] 3학기 7주차. 이란의 새로운 종합과 기독교의 탄생 (1)
인문공간세종
[종교인류학] 3학기 7주차. 이란의 새로운 종합과 기독교의 탄생 (2)
인문공간세종
[퇴근 후 인류학 강의] 케이브 오브 본즈(1) _뇌 크기는 정말 인간다움의 조건일까? 진화의 상식을 깬 신
인문공간세종
[종교인류학] 3학기 6주차. 유대교의 시련과 헬레니즘 시대의 혼합주의 : 세계 종말과 구원의 사상 (2)
인문공간세종
[퇴근 후 인류학 강의] 데르수 우잘라(2) _변화하는 탐험가, 그리고 숲이 된 사냥꾼 #블라디미르아르세니예
인문공간세종
[종교인류학] 3학기 5주차. 고대 유럽의 종교 : 로마에서부터 게르만과 켈트까지(4)
인문공간세종
[종교인류학] 3학기 5주차. 고대 유럽의 종교 : 로마에서부터 게르만과 켈트까지(3)
인문공간세종
[퇴근 후 인류학 강의] 데르수 우잘라(1)_대화를 잘하는 사냥꾼과 숲이 낯선 탐험가, 다른 두 사람은 어떻
인문공간세종
[종교인류학] 3학기 4주차. 고대 유럽의 종교 : 로마에서부터 게르만과 켈트까지(2)
인문공간세종
[종교인류학] 3학기 4주차. 고대 유럽의 종교 : 로마에서부터 게르만과 켈트까지(1)
인문공간세종
[종교인류학] 3학기 3주차. 붓다와 그의 시대 : 영원회귀의 공포로부터 언어를 넘어선 지복으로 (1)
인문공간세종
[종교인류학] 3학기 2주차. 브라만교와 힌두교: 최초의 철학과 구제의 기법(2)
인문공간세종
[종교인류학] 3학기 2주차. 브라만교와 힌두교: 최초의 철학과 구제의 기법(1)
인문공간세종
[종교인류학] 3학기 1주차.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 고대 중국의 종교 (3)
인문공간세종
[종교인류학] 3학기 1주차.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 고대 중국의 종교 (2)
인문공간세종
[종교인류학] 3학기 1주차.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 고대 중국의 종교 (1)
인문공간세종
노인에게도 온 마을이 필요하다 I 『한뼘 양생』 저자 이희경 (문탁) 북토크 2 Q&A #나이듦 #
인문공간세종
[퇴근 후 인류학 강의] 모든 것의 새벽_8장 상상의 도시 | 불평등의 기원을 묻는다
인문공간세종
[해양 인류학] 이븐 바투타 여행기 13장 델리에서 씰란까지_ 관점을 흔드는 조건들
인문공간세종
[해양 인류학] 이븐 바투타 여행기 12장 인도 술탄을 위한 이븐 바투타의 봉사_ 베푼다는 것, 소유한다는
인문공간세종
[퇴근 후 인류학 강의] 모든 것의 새벽_7장 자유의 생태학 | 인간이 생물을 길들였다는 생각은, 어떤 풍경
인문공간세종
[훔볼트 답사단11-1] 제천 점말동굴유적 _ 동굴과 예술의 애니미즘
인문공간세종
[해양 인류학] 이븐 바투타 여행기 11장 쑬탄 아불 무자히드 무함마드 샤_술탄의 위태로움과 자기 도덕
인문공간세종
[해양 인류학] 이븐 바투타 여행기 10장 델리와 그 역사_ 과로하는 술탄들
인문공간세종
[해양 인류학] 이븐 바투타 여행기 9장 델리로 가는 길_ 한계를 겪는 방법
인문공간세종
[종교인류학] 2학기 #8-2. 왕과 예언자 시대의 이스라엘 종교
인문공간세종
[종교인류학] 2학기 #8-1. 왕과 예언자 시대의 이스라엘 종교
인문공간세종
[퇴근 후 인류학 강의] 모든 것의 새벽_6장 아도니스의 정원 | 재배는 정말로 신석기시대를 상징하는 삶의
인문공간세종
[해양 인류학] 이븐 바투타 여행기 8장 중앙아시아_ 타자를 어떻게 만날 것인가
인문공간세종
[해양 인류학] 이븐 바투타 여행기 7장 우즈베크 지방과 동유럽 _ 이교도의 눈에 비친 세계
인문공간세종
[해양 인류학] 이븐 바투타 여행기 6장 소아시아 _ 환대와 적대
인문공간세종
[해양 인류학] 이븐 바투타 여행기 5장 홍해 연안과 인도양 및 페르시아만 _ 환대의 풍경
인문공간세종
[해양 인류학] 이븐 바투타 여행기 4장 이라크와 페르시아 _ 다름을 어떻게 보는가
인문공간세종